Translate

2014년 12월 2일 화요일

2014년 9월 16일 화요일

[강좌] MuseScore 1.3 - 마디 나누기 ...

*. 원문 : http://cafe.naver.com/leighals/449


하나의 마디를 두 개로 나누는 방법입니다.


1.

세로줄을 드래그 해서 2번째의 마디의 첫번째 음표가 될 음표가 선택되도록 한 후 버튼을 놓습니다.

2.

마디가 분리 되었습니다.
꼬리가 연결된 음표를 마디로 분리할 경우 마디를 넘어가는 음표 꼬리가 됩니다.


3.

꼬리 속성을 다시 설정합니다.


4.
완성

2014년 8월 8일 금요일

[우분투] [팁] 복구모드의 ROOT 파일 시스템 ... |

복구 모드로 들어가서 root 항목을 선택했을 때 나오는 곳의 root file system은 read-only mount가 된 상태이기 때문에 root라 할지라도 write가 안됩니다. 그래서, 정상적인 동작이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들어가자 마자 다음의 영령어로 read/write 가능하도록 다시 mount해야 뭔가 root 작업이 가능합니다.

Code:
mount -o remount,rw /

2014년 8월 1일 금요일

[팁] VLC media player (MS-WIndows) 한글 자막 ...


MS Windows 용 VLC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한글 자막을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다음의 2가지만 설정해 주면 됩니다.























 인코팅은 한국어 (EUC-KR/CP949) 혹은 기본값 (Windows-1252) 으로 설정하면 됩니다.

제일 중요한 것이 폰트 설정인데 굴림체 등으로 설정하면 자막이 나오지 않습니다.
반드시 유니코드를 지원하는 "바탕체" 등으로 설정해야만 합니다.






[팁] Linux/Ubuntu VLC 한글 자막 ...

Linux / Ubuntu 용 VLC media player 의 한글 자막 설정 방법입니다.
1. 도구  → 환경 설정 → 자막/OSD → 기본 인코딩 → 한국어 (EUC-KR/CP949)

로 설정합니다.


2. 도구  → 환경 설정 → 자막/OSD → 글꼴  → 한글 표현이 가능한 글꼴

로 설정합니다.   

반드시 유니코드를 지원하는 한글 표현이 가능한 글꼴로 지정을 해야 합니다.























본인은 나눔고딕 으로 설정했습니다.





3.

원문 :  http://www.ubuntu-kr.org/viewtopic.php?p=41891


sudo gedit /usr/share/applications/vlc.desktop


내용 중,


Exec=/usr/bin/vlc --started-from-file %U

항목을



Exec=/usr/bin/vlc --started-from-file %u

또는

Exec=/usr/bin/vlc --started-from-file %m

으로 변경하면 됩니다.


즉,   %U%u 또는 %m  으로 바꿉니다.









2014년 7월 10일 목요일

촌수와 호칭 ...


 
촌수와 호칭
 
*. 이 자료는 파주염씨 자료 촌수와 호칭을 한글 2010에 맞도록 편집한 것입니다.
 
 
촌수와 호칭 또 지칭어를 잘 몰라 당황하거나, 마땅한 말을 찾지 못하여 안타깝고 답답할 때가 있지요.
여기에 게재한 자료는 가장 믿을 수 있고, 권위 있다고 보는 '조선일보사''국립국어연구원'이 생활언어의 표준화 작업을 거쳐 펴낸  '우리말의 예절'이란 책자에 수록된 것을 발췌하여 만들었습니다.
이 책자는 정부와 민간언론사가 손잡고 조사한 자료와 보완 취재로 기사화, 여론화하는 한편 학계와 사회 저명인사들로 구성한 '화법 표준화 자문위원회'를 설치하여, 위원들이 갈고 다듬은 표준안으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전통 예법만 고집하시는 분들이나 일부 지방에서는 수용하기 힘든 부분도 있을지 모르나 이 표준안은 민·관이 혼연일체가 되어 오랜 기간 동안 갈고 다듬어 만들어진 것으로,  지면 관계 상 반대 의견이나 이의 제기한 문제점 등을 수용하며 전개된 과정을 전부 게재할 수는 없고, 우리 생활에서 많이 쓰는 것들을 중심으로 게재하였으니 참고하여 잘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검색 색인 목차
- 친족 촌수표
- 외가 관계
- 외족, 처족 촌수표
- 처족에 관련된 자료
- 호칭과 지칭에 대한 참고 사항
- 처가와 관련된 호칭
- 직계 존·비속 및 형제·자매 관계
- 시댁에 관련된 호칭
- ·숙부 및 종형제와 조카 관계
- 아저씨, 아주머니 호칭
- 고모와 내종형제 관계
- 사돈 간의 호칭과 지칭어
 
 
 
. 빨간색의 원숫자는 나와의 촌수입니다.
. 파란색의 단어를 누르면 세부 호칭과 설명 등을 알아볼 수 있음.
 
 
 
 


( )
( )
( )




고조부

 
 
 
 
 
 
 
 
 
 
 
 
 
 
 
 
 
 
 
 
 
 
 
 
증대고모



증조부




종증조부
 
 
 
 
 
 
 
 
 
 
 
 
 
 
 
 
 
 
 
 
 
 
 
 
 
대고모



조부:


종조부
 
재종조부
 
 
 
 
 
 
 
 
 
 
 
 
 
 
 
 
 
 
 
 
 
 
 
 
 
내종숙
 
고모:

 


·숙부
 
당숙부
 
재종백숙

 
 
 
 
 
 
 
 
 
 
 
 
 
 
 
 
 
 
 
 
 
 

내종형:
 
:
매부
 

 
:형수
:제수
 
종형:
 
재종형:
 
삼종형:

 
 
 
 
 
 
 
 
 
 
 
 
 
 

 
 
 
 
 

내종질
 
생질
 
사위
 
아들
자부
 
조카()
 
당질
 
재당질




 
 
 
 
 
 
 
 
 
 




외손
 
손자
손녀
 
종손
 
재종손
 
삼종손





 
 
 
 







증손
 
종증손







 
 








현손




 
 

 
외증조
 
 
 
처증조
 
 
 
 
 
 
 
 
 
 
 
 
 
 
 
 
 
외조부
 
외종조
 
처조부
 
 
 
 
 
 
 
 
 
 
 
 
 
 
 
 
 
 
 
이모
 
:
 
외숙부
 
외당숙
 
장인
장모
 
 
 
 
 
 
 
 
 
 
 
 
 
 
 
 
 
 
 
 
 
이종형:
 
 
외종형:
 
외재종형제
처형:처제
 
아내
 
처남
 
 
 
 
 
 
 
 
 
 
 
 
이종질
 
외종질
 
외재종질
이질
 
처조카
 
 
   
    (親 戚)
친족(親族)
  (戚 族)
  
종친(宗親)
외척(外戚)
인척(姻戚)
()
부당(父黨)
모당(母黨)
처당(妻黨)
()
친가(親家)
외가(外家)
처가(妻家)
()
종족(宗族)
외족(外族)
처족(妻族)
 
 
 
 
 
. 호칭과 지칭에 대한 참고사항
 
문화가 발달하고 새로운 제품이 생산되면 그에 합당한 명칭의 신조어가 만들어 지듯, 사람 사이의 호칭도 접촉 빈도에 따라 바뀌고, 새로 만들어 지는가 봅니다.
여기 올린 자료를 잘 활용하시되, 현장의 상황, 항렬, 연령 등을 고려하고, 먼저 상대를 배려하려는 마음가짐을 앞세워  상대를 낮추어 하대하려 들지 말고, 상대방을 인격적으로 존중하려고 노력하면 정확한 호칭어나 지칭어를 몰라도 한결 수월하게 대화나 상황전개가 잘 진행되리라 봅니다.
 
1. 항렬이 낮은 사람은 엄밀히 따지면 장손 집안에서 나타나지요.
전통 예법에서도 장손, 장조카에게는 하대하지 않았지요.
조카가 다섯 살 이상 차이가 나면 서로가 평대 하도록 하였지요.
 
2. 대상자를 직접 부를 때 삼촌, 사촌, 오촌, 외삼촌 등 숫자의 호칭은 안 썼으나 요즘은 그냥 사용하더군요. 삼촌은 '숙부', 사촌은 '종형·종제', 오촌은 '당숙부', 외삼촌은 '외숙부', 육촌은 '재종형·' 이지요.
 
3. 여자들만이 부르는 호칭 : 언니의 남편은 '형부', 여동생의 남편은 '서방()'.
'올케', '언니', '시누이', '시숙', '시아주버님', '시아버님', '시어머님', '시이모님', '시고모님'.
남편 누님의 남편 즉 '남편의 매형'에 대한 호칭은 원래는 없었는데 '아주버님'으로 하였고, 3자에게는 아이들 이름을 붙여 'ㅇㅇ 고모부'라 해도 됩니다.
'아주버니'나 일부 지방에서 사용하는 '아재'는 낮춤말이랍니다.
 
4. 부를 대상자가 많거나, 혼돈이 생길 경우 지역 이름을 적절히 사용하여 구분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가령, 인천 당숙, 부산 형님, 대전 서방님, 대구 매형, 신림동 숙부 .
 
 
 
 
 
직계 존·비속 및 형제·자매 관계
 
대 상 자
내가 대상자를
부를 때
대상자에게
나를 말할 때
남에게 대상자를
지칭할 때
남의 대상자를
말할 때
할아버지
, 제가, 불효손
할아버지, 조부님
왕대인, 조부장, 왕부장
아버지의 아버지를 말하며, 같은 할아버지의 손자들끼리는 '종형제' 4촌간이 됨.
할머니
, 제가
할머니, 조모님
왕대부인
아버지. 父主
, 제가, 불효자, 소자
아버지, 가친, 엄친
춘부장, 춘장, 춘당
친 부모님께는 '아버지'와 같이 ''자를 붙이지 않으며, 돌아가시면 '선친', '선고'로 지칭.
어머니, 慈主
, 제가
어머니, 자친
자당, 훤당
부모(父母)
부모님, 양위분
고애자(돌아가신 뒤)
부모님, 양친
양위, 양당
남편(男便)
여보, 영감, ㅇㅇ아빠
,
남편, 그이, 바깥양반
부군, 현군, 주인어른
남편을 시부모께 지칭 : 아비, 아범, 저이, 이이
친정부모께 지칭 : 서방, 그 사람
아내()
여보. 마누라, ㅇㅇ엄마
,
안사람, 아내, 집사람
부인, 영부인, 합부인
아내를 친부모께 지칭 : ㅇㅇ어미(어멈), 그 사람
장인께 지칭 : ㅇㅇ어미(엄마), 그 사람, 안사람
아들()
, 큰애, 작은애, 이름
애비, 에미, , ,
자식, 큰애, 작은애
자제, 영식, 영윤
, 아가, 어멈아
, 시아버지, 시어머니
며느리, 큰애, 작은애
자부, 며느님
()
(큰애, 작은애), 이름
애비, 에미, , ,
, 큰애, 작은애
따님, 영애, 영교
서방
장인, 장모
사위, 서방
서랑
이름,
, 할아버지, 할머니
손자, 손녀
영손
, 형님
, 동생, 아우
큰형(), 작은형
백씨(), 중씨()
형수님, 아주머님
, 시동생
·작은형수()
·작은 형수씨
동생, 아우, 이름
,
아우, 동생
제씨, 영제씨
제수씨, 계수씨(막내)
, 시아주버니
제수(), 계수(막내)
영제수씨, 영계수씨
누나, 누님
, , 동생
누나, 누님
영자씨
매형, 매부
, , 처남
매형, 매부
'자형'은 제외되었음.
동생, 이름
, 오빠, 언니
누이동생
영매씨
여동생의 남편
매부, 서방
, 처남, 처형
매부, 동생의 남편
매부(연장자)
생질(甥姪)
이름, , 생질, 생질녀
외숙부, 외삼촌
생질, 생질녀
생질, 생질녀
오빠
오빠, 오라버니()
자녀에게는 외삼촌, 언니의 남편은 '형부'
오빠의 아내
()언니
자녀에게는 외숙모,  여자인 경우 남동생의 아내는 '올케'
(高祖父)
'조부의 조부'이시고, '아버지의 증조부'.
고조부가 같은 방계의 형제들은 8촌간으로 '삼종형제'라 함.
'아버지의 할아버지'이시며,  증조부가 같은 형제들끼리는 6촌간으로 '재종형제'라 함.
 
 
. 누나의 남편을 자형과 매형의 논란 과정에서 '매형'의 매()란 글자는 누이동생에게 쓰는 글자이므로 거기에 ''을 붙이는 것은 모순이란 말도 있었으나, 국어사전에도 올라있고 통상적으로 많이 쓰는 '매형'으로 통일 하였답니다.  누나의 남편이 나보다 나이가 적으면 '매부'라 하고, 또한 누이동생의 남편이 나보다 나이가 많으면 '매부', 나이가 적으면 '서방'으로 호칭.
누이동생의 남편인 [매부]가 나보다 나이가 많은 경우 실수가 많습니다. 자기가 오빠라 해서 연장자인 [매부]한테 '형님'이라 요구한다거나 또는 실제 그렇게 하는 사례를 봅니다. 절대 안 됩니다. [처남]입니다. 또한 누이동생의 남편이 자기보다 나이가 많은 경우 '서방'이라 해서도 안 되고 [매부]라 해야 하며 손위 행세를 하거나 하대해서도 안 됩니다. 이런 경우 서로가 존대의 예를 해야 합니다.
 
 
 
·숙부 및 종형제와 조카 관계
대 상 자
내가 대상자를
부를 때
대상자에게
나를 말할 때
남에게 대상자를
지칭할 때
남의 대상자를
말할 때
(伯父, 叔父)
큰아버지, 작은아버지
, 조카
백부, 중부, 계부(막내)
백완장, 완장, 계부장
아버지의 형제이므로 나와는 3촌간. 아버지의 형이 여럿인 경우 큰아버지, 둘째아버지, 셋째아버지라 하며, 아버지의 동생은 작은 아버지(숙부)이다.
백모, 숙모
(伯母, 叔母)
큰어머니, 작은어머니
, 조카
백모, 숙모
, , 숙모부인
형님, 종형님
아우, 종제
사촌형, 종형
영종형씨, 영종백씨
나와 4촌간으로할아버지부터는 조상이 같은 자손들임.
아우, 종제
형님, 종형님
사촌아우, 종제
영종씨, 현종씨
당숙(堂叔)
당숙, 종숙, 아저씨
종질, 당질
당숙, 종숙
종숙장, 당숙장
아버지의 4촌 형제로, 당숙은 5촌이고 당숙의 자녀는 '재종형제'라하며 6촌간이 됨.
(從祖父)
종조할아버지, 종조부
종손
종조부, 종조할아버지
귀종조부님
조부님의 형제아버지의 백·숙부를 말함종조부의 손자는 나와 6촌 형제가 됨.
종조모
종조할머니, 종조모
종손
종조모, 종조할머니
귀종조모님
(再從兄)
, 재종형
재종제
재종형, 육촌형
영재종씨
당숙의 자녀로 6촌간이며증조부부터는 같은 조상의 후손들임.
아우, 이름, 재종제
재종형
재종제, 육촌동생
영재종제씨
이름, 조카, 아범
숙부, 숙모
조카
장조카는 예우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조카가 아저씨보다 5살 이상 위이면 서로 예우함.
조카의 아내
아가, 어멈
숙부, 숙모
조카며느리, 질부
여자 조카
이름, 어미, 어멈
숙부, 숙모
조카딸, 질녀
조카사위
서방, 아범
처숙부, 처숙모
조카사위, 질서
조카들
나의 형제의 자녀는 3촌간으로 '조카'()인데,  같은 남자형제의 자녀는 '조카, 조카딸'.
누나·여동생의 자녀는 '생질'(즉 나를 외숙부라 부르는 사람).
나를 고모라 부르는 친정조카는 '가질'이라 하는데 '조카' 또는 '친정조카'라 하고,
나를 고모부라 부르면 '처조카'.
나를 이모, 이모부로 부르는 조카는 '이질'(여자 형제의 자녀,  처형·처제의 자녀들).
나를 당숙으로 부르는 조카는 당질(사촌형제 즉 종형제의 자녀).
 
고모와 내종형제 관계
대 상 자
내가 대상자를
부를 때
대상자에게
나를 말할 때
남에게 대상자를
지칭할 때
남의 대상자를
말할 때
고모
, 가질
고모
존고모부인
아버지의 여자형제로, 고모의 자녀는 '내종형제' 또는 '내사촌'이라 함.
고모부
고모부
존고숙장
(內從兄)
내종형
외종제
내종형
귀내종형
고모의 자녀, '고종형제', '내사촌' 또는 '고종사촌'으로 부름. 여자끼리는 '내종언니'
내종제
외종형
내종제
귀내종제
'할아버지의 누이', '아버지의 고모'이며, '왕고모'라고도 함.
'고모'의 손자, '고종형제'(내사촌)의 자녀들을 말함.
아버지의
고모, 이모,
외삼촌
아버지의 고모
대고모, 왕고모, 고모할머니, ㅇㅇ할머니 (ㅇㅇ는 사시는 지역 이름)
아버지의 이모
이모할머니, ㅇㅇ할머니 (ㅇㅇ는 사시는 지역 이름)
아버지의 외삼촌
진외할아버지, ㅇㅇ할아버지 (ㅇㅇ는 사시는 지역 이름)
 
외가 관계
대 상 자
내가 대상자를
부를 때
대상자에게
나를 말할 때
남에게 대상자를
지칭할 때
남의 대상자를
말할 때
(外祖父)
외할아버님
, 외손
외조부, 외왕부
외왕존장, 외왕대장
어머니의 아버지아버지의 장인이며, 아들은 '외숙부', 딸은 '이모'가 됨.
외조모
외할머님
, 외손
외조모
외왕대부인
외삼촌, 외숙부
, 생질
외숙, 외삼촌
귀외숙, 귀표숙
어머니의 오빠나 남동생이며, '외숙부'라 함.
외숙모
외숙모
, 생질
외숙모
귀외숙모
이모부, 이숙
, 이질
이모부, 이숙
귀이숙장
이모
, 이질
이모
귀이모
어머니의 여형제로, 이모의 자녀는 '이종형제' 또는 '이종사촌'이라 함.
(外從兄)
외종형
내종제
외종형
귀외종형
외삼촌의 자녀, '외사촌'이라고도 하며, '외사촌'은 나를 '고종사촌'이라 부름.
외종동생, 표종제
내종형
외종제
귀외종제
이종형·
이종형, 이종동생
이종동생, 이종형
이종사촌형·

진외가
陳外家, 할아버지의 처가, 즉 아버지의 외가
진외조부 : 할아버지의 장인, 아버지의 외할아버지.
증외조부 : 증조부의 장인, 할아버지의 외할아버지.
증외가
외가, 증조부의 처가, 할아버지의 외가
외외가
外外家, 어머니의 외가
. 참고 : 많이 사용하는 것 중 고쳐야 할 몇 가지를 소개하면
1. 성인이 되어서도 아버지, 어머니를 '아빠', '엄마'로 부르는 것. ''자를 붙이는 것.
      특히, 시부모 앞에서 '친정아빠', '친정엄마'라 하는 것
      , 편지를 쓸 때는 '아버님', '엄마' 등으로 예외로 사용할 수 있다고 봄.
  2. 살아계신 아버지를 '선친', '선고'라고 하는 것 (돌아가신 뒤에만 사용)
   3. 남편을 '아빠', '오빠', '' 등으로 부르고, 아내를 '와이프'라고 부르는 것
   4. 남편의 남동생을 '삼촌', 남편의 여동생을 '고모'라고 부르는 것.
 
 
 
다음은 처족과 관련하여 알아봅니다.
 
대 상 자
내가 대상자를 부를 때
대상자에게 나를 말할 때
남에게 대상자를 지칭 때
남의 대상자를 말할 때
장인(丈人)
장인어른
, 사위
장인, 빙장(어른)
귀악장
장모(丈母)
장모님
, 사위
장모, 빙모()
귀빙모부인
 
여자가 시집을 가면 나이에 관계없이 남편 쪽의 서열에 따라 남편 동기의 배우자 등에 대한 호칭과 경어 사용이 정해지는데, 아내의 동기들에게는 여자의 서열에 관계없이 '사회의 사귐 관계'라 하여 남자들의 나이에 따른다는 것은 지나친 남성 위주의 사고라는 지적도 있지요.
또 핵가족화의 영향 등으로 본가와는 분가하여 살다보니 자연스레 처가와 왕래가 많아져 처남과 매부가 친형제 이상으로 가깝게 지내는 일이 많아졌지요. 그러다 보니 심지어 남에게는 '형님'이라고 하면서 손위 처남을 '형님'이라고 할 수 없다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는 주장도 있답니다.
 
1. 요즘은 처의 부모님을 장인, 장모님 보다 아버님, 어머님으로의 호칭을 더 많이 쓰더군요. 전례에는 장인어른을 '아버님'이라 할 수 없고, 또 손위 처남한테도 '형님'이라고 부를 수가 없었지요. 하지만 아내는 나의 부모님께 아버님, 어머님 하는데, 처의 부모님께도 그에 합당한 칭호를 붙여 드려야 한다는 것이지요. 또 당사자들도 장모보다는 어머님으로의 호칭을 더 좋아하고 원한답니다.
 
2. 처남과 동서 간에 있어, 처의 오빠와 처형의 남편이 나보다 나이가 연장자인 경우는 '형님'으로, 자신보다 연하인 경우에는 '처남', '동서'라 부르도록 하였답니다그렇다고 연하인 처의 오빠와, 연하인 처형의 남편에게 하대해서는 안 되겠지요이런 경우는 서로가 존대의 예를 갖춤이 타당하다고 봅니다. 여기서 처의 오빠를 형님으로 했다하여 '처남의 댁'을 형수님이라 해서는 안 되겠지요. 그렇다고 나이 차이 많은 처남댁을 직접 부를 때 '처남의 댁'이라 하지 않고 '아주머님'이라 한답니다.
 
3. 또 아랫동서나 처제, 처남 등에게 나이 차이가 있다 하여도 '하대' 하지 않으나 요즘은 처가와의 밀착도에 따라 처가의 아들 노릇을 하고, 친동생과 같이 지낸다 하여 하대를 하는 경우를 많이 보는데, 세월의 변화라 보며 그것이 꼭 상식에 어긋난다고 어찌 나무랄 일은 아닌 것 같더군요.
위의 내용 등을 도표로 표시하면
 
대 상 자
호칭, 지칭
3자에게 지칭할 때
자녀에게 지칭할 때
장인어른, 아버님
장인(어른), 외할아버지
외할아버지
장모님어머님
장모님, 외할머니
외할머니
아내
여보, ㅇㅇ엄마, 임자, 당신
, 아내, 어멈(부모)
어머니
형님, 처남(연하)
처남, ㅇㅇ외삼촌
외숙부, 외삼촌
아내 오빠의 아내
아주머니, 지칭 : 처남의 댁
처남의 댁, ㅇㅇ외숙모
외숙모
처남, 이름, 자네
처남, ㅇㅇ외삼촌
외숙부, 외삼촌
아내 남동생의 아내
처남의 댁
처남의 댁, ㅇㅇ외숙모
외숙모
처형
처형, ㅇㅇ이모
이모
아내 언니의 남편
형님, 동서(연하)
동서, ㅇㅇ이모부
이모부
처제
처제, ㅇㅇ이모
이모
아내 여동생의 남편
동서, 서방
동서, ㅇㅇ이모부
이모부
사위
서방, 여보게, 사위
서방, 우리 사위
아빠, 아버지
이름,
처조카, 처조카 딸
외사촌형·/ 언니, 동생
 
 
 
시댁에 관련된 호칭
 
대 상 자
호칭, 지칭
3자에게 지칭할 때
자녀에게 지칭할 때
시아버지
아버님, 아버지
시아버님, 아버님
할아버지
시어머니
어머님, 어머니
시어머님, 어머님
할머니
남편
여보, ㅇㅇ아빠, 당신, 영감
남편, 그이, 아범(시부모)
아버지
남편의 형
아주버님
아주버님, 시숙
큰아버지, 백부님
남편의 남동생
도련님(미혼), 서방님
도련님, 시동생
숙부님, 작은아버지
남편의 누나
형님
시누이
고모
남편의 여동생
아가씨, 아기씨
시누이
고모
남편 형의 아내
형님
형님, 큰동서
큰어머님, 백모님
남편 동생의 아내
동서
동서
작은어머님, 백모님
남편 누나의 남편
아주버님
자녀이름 '○○'고모부
고모부
남편 여동생의 남편
서방님
자녀이름 '○○'고모부
고모부
며느리
아가, 새아가, 며늘아
우리 며느리, 며늘애, ㅇㅇ
엄마, 어머니
 
아저씨, 아주머니 등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국어사전의 어원으로 볼 때
 
1. 아저씨 :  '부모와 같은 항렬의 남자',  그러므로 '당숙', '재당숙', '삼종숙' 등에 사용. '또는 그와 같은 또래의 남자를 정답게 부르는 말'.
2. 아주머니 : 어버이와 같은 항렬의 여자아저씨의 아내. 자기와 같은 항렬 되는 사람의 아내. 부녀자에 대한 통칭경칭어는 '아주머님'.
3. 아주버니 : 남편과 같은 항렬 되는 남자높임말은 '아주버님'.
4. 아재 : 아저씨, 아주버니의 낮춤말. '아재비'도 아저씨의 낮춤말 임.
5. 아제 : 아저씨의 낮춤말. 여자가 자기 여동생의 남편을 부르는 말.
6. 아주미 : '아줌마', '아줌니' 등 아주머니의 낮춤말.
 
 
 
사돈 관계의 호칭과 지칭어
 
대 상 자
관계
호칭어 및 당사자에게
자녀 배우자의 부모 및 삼촌 항렬
(자녀 배우자 : 사위, 며느리)
사돈어른, 사돈, ㅇㅇ()할아버지
사부인, ㅇㅇ()할머니
사부인, 사돈,  ㅇㅇ()할머니
사돈어른(밭사돈), ㅇㅇ()할아버지
동기 배우자의 형제자매  배우자
(동기 배우자 : 형수, 제수, 올케, 매부)
남자에게
사돈, 사돈도령, 사돈총각
여자에게
사돈, 사돈처녀, 사돈아가씨
며느리, 사위의 조부모

사장어른
동기 배우자의 부모

사장어른
자녀 배우자의 형제자매 및 조카
동기 배우자의 조카
남자에게
사돈, 사돈도령, 사돈총각
여자에게
사돈, 사돈처녀, 사돈아가씨